본문 바로가기

Oracle3

[Oracle] 조인과 서브쿼리 연습문제 * 내가 일하는 실무에선 LEFT OUTER JOIN만 사용한다 하여 이를 위주로 조인연습을 할 것이다. 1. 부서 테이블과 사원테이블에서 사번, 사원명, 부서코드, 부서명을 검색하시오. ( 사원명 오름차순 정렬할 것 ) SELECT E.EMPNO, E.ENAME, D.DEPTNO, D.DNAME FROM DEPT D, EMP E WHERE D.DEPTNO = E.DEPTNO ORDER BY E.ENAME ; 2. 부서 테이블과 사원테이블에서 사번, 사원명 , 급여 , 부서명을 검색하시오. 단, 급여가 2000 이상인 사원에 대하여 급여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할 것. SELECT E.EMPNO, E.ENAME, E.SAL, D.DNAME FROM EMP E LEFT OUTER JOIN DEPT D ON D.. 2023. 3. 12.
[오라클] NULL 관련 함수 NULL 의 특성 아직 정의되지 않은 값으로 0 또는 공백과 다르다. (0은 숫자이고, 공백은 문자다) 테이블을 생성할 때 NOT NULL 또는 PRIMARY KEY로 정의되지 않으면 NULL을 포함할 수 있다. NULL을 포함하는 연산의 결과도 NULL이다 ( 1 + NULL = NULL) 컬럼 A가 1 이고 컬럼 B가 NULL 일때는 연산 결과가 NULL 이지만, 컬럼 A에서 숫자 1과 NULL 이 있는 상태에서 sum(A)를 하면 NULL 을 제외한 1값이 나온다. NULL과 연산하고 싶을 때에는 시스템에서 의미 없는 문자로 바꿔서 연산하는 경우가 많다. 혹은 NVL 함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. 1. NVL(식1,식2) / ISNULL(식1,식2) 식1의 값이 NULL 이면 식2 출력 단, 표현식1과.. 2022. 12. 27.
[오라클] ROUND와 TRUNC 함수 차이 1. ROUND : 반올림 함수 숫자가 양수이면 소수점 아래를, 숫자가 음수이면 소수점 위를 의미하고, 숫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소수점 첫째 자리를 의미 예시 : ROUND(38.5235,3) -> 38.524 ROUND(38.5235,1) -> 38.5 ROUND(38.5235) -> 39 2. TRUNC ROUND 함수와 동일하지만 TRUNC 함수는 버림에 사용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ROUND 함수와 달리 반올림되지 않고 숫자가 버려짐 예시: TRUNC(38.5235,3) -> 38.523 TRUNC(38.5235,1) -> 38.5 TRUNC(38.5235) -> 38 2022. 12. 27.